인테리어를 계획하면서 가장 혼란스러운 부분은 ‘예산’입니다. 같은 평수라 해도 어떤 자재를 쓰느냐, 어떤 공정을 포함하느냐에 따라 수백만 원에서 수천만 원까지 차이가 나기 때문이죠.
2025년 현재 기준으로, 평형대별 평균 인테리어 비용, 공정별 구성, 필수 고려사항까지 꼼꼼히 정리해드립니다. 이 글 하나로 여러분의 인테리어 예산 계획에 정확한 가이드라인을 잡아보세요.
🏠 10평대 인테리어 비용 (원룸, 오피스텔, 소형 아파트)
- 전체 리모델링 예산 범위: 약 800만 원 ~ 1,500만 원
- 부분 리모델링 예산: 300만 원 ~ 700만 원
10평대는 공간이 작기 때문에 공정 단가는 높지만, 총 예산은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하지만 공간이 작을수록 동선 최적화, 수납 효율화, 맞춤 가구 사용이 중요해 단순 공사보다 디자인에 더 정성이 들어가야 합니다.
- 주요 포함 항목
- 전체 철거 및 정비
- 바닥재(장판 or 강마루), 도배, 몰딩
- 소형 주방가구 교체 (2~3m 기준)
- 욕실 전체 교체 (기본형)
- 조명 및 콘센트 교체, 슬라이딩 도어
- 자재별 단가 참고
- 일반 합지 도배: 1평당 8천 원~1.2만 원
- 강마루 바닥: 1평당 2만~3.5만 원
- 욕실 기본형 리모델링: 150만 원~250만 원
- 팁
① 붙박이장보다 모듈형 수납 활용
② 주방은 상부장 생략 + 하부장 강화로 개방감 확보
③ 욕실은 건식 구조 + 슬라이딩 파티션 추천
라이프스타일 슈퍼앱, 오늘의집
앱에서 1초만에! 간편하게 로그인하기 앱으로 보기
ohou.se
🏡 20평대 인테리어 비용 (2~3인 가구, 신혼집)
- 전체 리모델링 예산 범위: 1,500만 원 ~ 3,000만 원
- 부분 리모델링: 700만 원 ~ 1,500만 원
가장 수요가 많은 평형대입니다. 예산 활용에 따라 가성비 스타일링부터 세미 고급형까지 다양하게 선택 가능합니다.
- 공정 구성 예시
- 철거 + 전기배선 교체
- 벽체 보강 및 도어교체
- 주방 3~4m 교체 + 상판 업그레이드
- 욕실 1~2개 전체 리모델링
- 안방/거실 조명 레일 시스템
- 수납장(신발장, 붙박이장 등) 교체
- 현관 중문 (슬라이딩 or 여닫이)
- 자재 옵션별 예산 차이
- 강화마루 vs 원목마루: 평당 약 3만 원 차이
- 일반 주방가구 vs 인출식 고급 하드웨어: 200만 원 이상 차이
- 일반 타일 vs 수입 타일: ㎡당 2만~4만 원 차이
- 실전 팁
① 시공사 패키지 견적서에서 옵션항목 꼼꼼히 체크
② 수도관, 전기배선은 노후 여부에 따라 반드시 교체
③ 슬림 중문은 공간 확보 + 단열 효과 → 가성비 최고
라이프스타일 슈퍼앱, 오늘의집
앱에서 1초만에! 간편하게 로그인하기 앱으로 보기
ohou.se
🏘 30평대 인테리어 비용 (3~4인 가족, 표준 아파트형)
- 전체 리모델링 예산 범위: 2,500만 원 ~ 4,500만 원
- 고급형 진행 시: 최대 5,500만 원 ~ 6,500만 원
넓은 공간일수록 스타일링, 기능 분리, 내부 구조 재배치에 따라 금액 차이가 큽니다. 주방 확장, 안방 드레스룸 구성, 거실 아트월 디자인 등의 요소가 포함되면 금액이 상승합니다.
- 공정 상세 예시
- 전체 철거 및 단열 보강
- 구조 변경: 안방 확장, 파우더룸 설계 등
- 스마트조명 + 홈IoT 시스템
- 천장형 냉난방기 설치, 시스템에어컨
- 고급 아트월 (타일 or 무늬목 마감)
- 슬라이딩도어, 도어 몰딩 일괄 교체
- 전체 창호 + 방범창 교체 (옵션)
- 자재별 고급화에 따른 예산 증가 포인트
- 시스템에어컨 (4대 기준): 500~700만 원
- 아트월 타일 시공: 1면 기준 80만 원~150만 원
- 현관 대리석 or 포세린타일: 1㎡당 6만~10만 원
- 예산 팁
① 구조 확장 시 전기·난방 설비까지 체크 필수
② 욕실은 두 개 모두 고급형보단, 하나만 업그레이드
③ 실링팬, 간접등은 분위기 대비 비용 낮아 적극 활용 추천
라이프스타일 슈퍼앱, 오늘의집
앱에서 1초만에! 간편하게 로그인하기 앱으로 보기
ohou.se
🏡 40평 이상 인테리어 비용 (프리미엄 맞춤 시공)
- 전체 리모델링 예산 범위: 4,500만 원 ~ 8,000만 원
- 프리미엄 맞춤 시공 시: 1억 원 이상 가능
공간의 크기가 커지면서 ‘디자인’과 ‘설계’의 중요성이 절대적입니다. 단순 마감재 선택보다 공간을 어떤 동선으로 구성할 것인지, 취미나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어떤 기능을 넣을 것인지를 미리 설정해야 낭비 없는 시공이 가능합니다.
- 프리미엄 구성 예시
- 주방 아일랜드 + 수납동선 최적화
- 호텔식 욕실 구조 (건식, 히든 조명, 레인샤워 등)
- 중문 + 드레스룸 + 파우더룸 + 팬트리 다기능 설계
- 거실 음향 시스템 + 간접조명 2중 구조
- 천장 매립 조명, 전체 벽면 타일 or 친환경 수입벽지
- 빌트인 냉장고, 냉동고, 오븐, 와인셀러 등 주방 확장
- 디자인 중심 시공사의 경우
- 설계비: 500만 원~1,000만 원 별도
- 3D 가상 투시도, 자재 샘플링 포함 계약
- 팁
① 라이프스타일별 공간 구획을 미리 정리 → 설계 시 전달
② 애매한 공간 = 독서존, 명상룸, 반려동물 공간 등으로 활용
③ 실리콘/몰딩/마감 품질 = 시공사 선택 기준 중 하나
라이프스타일 슈퍼앱, 오늘의집
앱에서 1초만에! 간편하게 로그인하기 앱으로 보기
ohou.se
인테리어 예산 계획을 세울 때 꼭 기억해야 할 것
- 공정별 우선순위 정하기:
전체 다 바꿀 필요 없습니다. 주방, 욕실, 바닥 등 가장 사용량이 많은 공간부터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 ‘숨은 비용’ 주의하기:
철거 후 구조물 상태에 따라 단열보강비, 몰딩교체비, 하자수리비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예비 예산 10~15% 확보가 안전합니다. - 자재와 브랜드 차이 크다:
같은 기능이라도 브랜드에 따라 30~70% 가격 차이가 납니다. 반드시 시공 자재 스펙 리스트를 확인하세요.